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기세 절감을 위한 전기전환 <누진세 구간 확인 필수>

by 호떡쑥떡 2023. 4. 10.
반응형

우리나라의 전기요금 체계는 용도별 전기사용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전기공급비용 및 저소득층 및 농어민 보호, 에너지 절약, 산업경쟁력 강화 등 국가의 다양한 정책적 요소를 반영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 주택용, 교육용, 산업용, 농사용, 가로등, 일반용 총 6가지 계약종별로 구분됩니다.

 

용도별 전기요금 체계

첫째, 주택용. 주거용, 계약전력 3kW 이하, 독신자합숙소(기숙사 포함)나 집단거주용 사회복지시설, 주거용 오피스텔 고객 등을 대상으로 합니다.(주택용 전기는 누진세가 부과되므로 사용량이 많을수록 부과되는 금액이 높아집니다.) 둘째, 교육용. 육아교육법,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 도서관법에 따른 도서관, 박물관 및 미술관진흥법에 따른 박물관, 미술관 등을 대상으로 합니다. 셋째, 산업용. 한국표준산업분류상 광업, 제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합니다. 넷째, 농사용. 양곡생산을 위한 양수, 배수펌프 및 수문조작, 농사용 육묘 또는 전조 재배, 농작물재배, 축산, 양잠, 수산물양식업 고객 등을 대상으로 합니다. 다섯째, 가로등. 일반공중의 편익을 위한 도로, 교량, 공원 등의 조명용 전등, 교통신호등, 도로표시등, 해공로표시등 및 기타 이에 준하는 전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여섯째, 일반용. 상기 요금종별 이외의 모든 사용자가 이에 해당합니다.(주로 상가로서 누진세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용도별 전기요금 변경 신청

우선 용도별 전기요금 변경 신청을 하기 전에 월간 전력사용량을 확인하거나 입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경우, 2~3주 정상 사용 후 월간 전력사용량을 예측하여 1년 전기요금을 예상해 본 후 진행하시기를 권장합니다.(물론 계절적 차이나 오차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용도별 전기요금 변경 신청을 위한 준비물은 고객번호와 사업자등록증입니다.(물론, 신청 전 임대인과 미리 확인 후 진행하셔야 합니다.) 절차는 첫째, 한전 고객센터로 전화합니다.(국번 없이 123) 둘째, 상담실 연결 후 전기변경 신청을 합니다. 셋째, 고객번호 및 사업자등록증을 제출합니다. 넷째, 전환 전 전력사용량을 확인하고 전환 전후 손익을 검토합니다.(한전 고객센터에서 친절히 안내해 줍니다.) 다섯째, 최종 전환 종류 및 용량을 확인합니다.(전환 후 1낸 이내 재전환이 불가능하니 신청 전 충분히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여섯째, 전환이 완료되었으며 당월 전기요금부터 해당 용도로 전기요금이 부과됩니다.

전기요금 변경 시 중요한 체크 포인트 - 누진세

전기요금 용도를 변경하기 위해 확인해야 할 중요한 사항은 월별 전력 사용량입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누진세 적용 유무에 따라 요금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현재 주택용 전력 기초 구간은 300 Kwh로 월별 사용량이 300Kwh 이하일 경우 주택용이 유리하며 이상일 경우 일반용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것은 간단한 기준일 뿐이며 정확한 내용은 월별 사용량을 기준으로 1년 사용요금을 계산한 후에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주택용, 일반용 전기요금이 계절별로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아래 이미지 참고)

반응형

댓글